본문 바로가기
잡학사전

겨울철 난방비 절약 꿀팁(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by ㅇr 뱅 []~( ̄▽ ̄)~* 2022. 12. 16.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되면서 난방비에 대한 걱정을 하시는 분들이 늘어났습니다. 매해 돌아오는 겨울마다 하는 고민이지만, 올해에는 더욱 걱정되는 이유는 바로 도시가스 요금 인상 때문입니다. 2022년 10월 요금부터 해서 9월달을 기준으로 15.9%가 인상되었으며, 작년대비로는 약 38%가 인상된 것입니다. 계속해서 오르는 도시가스요금으로 인해 많은 분들이 어떻게 하면 난방비를 적게 내면서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다들 하고 계실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꿀팁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지역난방의 종류

먼저 난방비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각 가정에서의 난방 방식이 어떤 방식으로 측정되는지, 계량기 측정 단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지역난방은 측정하는 방식에 따라 열량계와 유량계로 나뉩니다. 난방은 바닥재 아래에 깔링 호스에 뜨거운 물이 통과하게 만들어, 방을 따뜻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인데요, 이때 열량계는 물이 얼마만큼, 그리고 몇도로 사용되는지를 측정하는 방식이며, 유량계는 물이 얼마만큼 사용되었는지만 측정하여 난방비가 산출되는 방식입니다.

 

자 그렇다면 이제 각 가정에서의 난방방식이 열량계 난방방식인지, 유량계 난방방식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도시가스 계량기에 측정되는 단위가 어떤 단위인지를 확인하면 되는 것입니다.

 

열량계는 도시가스 계량기 측정 단위가 Mcal, Mwh 인 것을 말하고

유량계는 도시가스 계량기 측정 단위가 ㎥, ton 인 것을 말합니다.

 

2. 열량계 난방비 절약법

열량계 난방방식은 물 사용량과 물의 온도까지 측정하는 방식이다 보니 유량계 난방방식보다 잔고장이 많은 편이지만, 유량계 난방방식보다 훨씬 세밀한 난방비가 측정되는 방식입니다.

그렇다 보니 과난방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과난방을 막는 것이 난방비 절약의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를 위해서는 타이머를 이용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합니다. 각 가정의 구성원들에 맞는 실내 적정온도를 설정하고, 짧은 시간동안 보일러를 가동하며 그 주기를 일정시간 반복하는 것이 난방비를 절약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또한 열량계 난방방식은 보일러 전원을 끄지 않고 항상 켜두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니 장시간 외출을 한다 하더라도 실내 적정온도를 낯춰놓는 등의 방식으로 전원을 끄지 않고 외출하는 것이 난방비 절약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유량계 난방비 절약법

유량계 난방방식은 난방을 하기 위해 물이 얼마만큼 사용되었는지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난방을 위해 흘러나오는 뜨거운 물이 최대한 짧은 시간동안 흐르도록 하는 것이 난방비를 절약하는 데에 가장 큰 관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컨트롤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열량계 난방방식 절약법과 비슷하게 타이머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설정해 둔 시간대에만 뜨거운 물이 흐르도록 하는 것인데요, 인터넷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추천하는 방식은 1시간마다 5분씩 보일러가 가동될 수 있도록 세팅하는 방식입니다. 이 기본적인 세팅방식으로 세팅을 시작해서, 각 가정에 맞도록 타이머 시간을 늘리거나 줄여서 적정 시간을 찾으면 됩니다. 

 

4. 그외 기타 난방비 절약하는 생활습관

난방기계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난방비를 절약하는 방법 외에도 생활습관을 조금씩 바꾸면서 난방비를 절약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먼저 첫번째 내복을 생활화하는 것입니다. 겨울에도 실내 적정온도를 20도 정도로 맞추고, 내복을 입고 생활한다면 집에서 한기를 느끼지 못하여 보일러를 작동시킬 일이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두번째로는 일명 '뽁뽁이'라고 불리우는 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창문이 아무리 이중창이고 한기를 잘 막아준다 해도 단열재를 붙이고 안붙이고는 차이가 매우 큽니다. 미관상으로는 그닥 예쁘지 않을지 몰라도, 겨울만큼은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다면 단열재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 또한 바닥의 냉기로 인하여 보일러의 온도를 올리시는 분들이라면, 바닥에 카펫을 깔거나, 실내용 슬리퍼를 집 내부에서 신고 다니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5.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한국가스공사에서 전국민을 대상으로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해 운영하는 제도로, 전년도 사용량보다 7%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단순히 절약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절약을 하면 현금으로 돌려받기까지 할 수 있으니 당장 신청하지 않을 이유가 없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신청기간이나 방법, 참여대상 등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여대상>

주택난방용/중앙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 누구나

※ 전년도 사용량 없는 세대는 제외

 

<신청기간>

2022년 12월 ~ 2023년 1월

※ 신청자 중 선착순 2만명에게 방한용품 지급

 

<신청방법>

1. 도시가스절약캐쉬백 홈페이지(https://k-gascashback.or.kr/ko/)에서 개인회원으로 회원가입

2. 회원 정보 및 도시가스 고객 정보 입력

3. 캐쉬백 신청 > 캐쉬백 지급 신청

※ 3월 이후 캐시백 대상자에게 알림톡 예정

 

<절약기간>

2022년 12월 ~ 2023년 3월

※ 성공 시 신청자의 계좌번호로 6월말 현금 지급 예정

 

<캐쉬백 지급기준>

전년 동기간 대비 7% 이상 절감 시 절감율별 차등 지급

7% 이상 절감시    30원/㎥

10% 이상 절감시  50원/㎥

15% 이상 절감시  70원/㎥

 

 

댓글